\"엄마, 이게 뭐야?\" 2~3세된 아이가
자주 묻는 말이다. 성에 대한 첫 질문은 바로 생식기 명칭에 대한 것인데 어떤 명칭이 올바른 것일까? 흔히들
\'고추\'\'고치\'\'잠자\'\'찌찌\'등으로 말하는 것 같다. 유아적인 용어라고 할 수 있는게 크게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정확한
용어라고 할 수는 없다.
우리 문화와 정서를 생각해볼 때 가장 무난한 것은 음경, 고환, 음순, 질, 자궁등으로 부르는게 좋겠다.
아주 어린 경우는 그렇다 치더라도 6,7세가 되면 올바른 명칭을 가르쳐 주도록 하자. 몇 번의 반복 후에 자연스럽게 그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그 명칭을 말할 때의 자세와 태도이다. 장난스럽거나 더러워하거나 부끄럽게 느끼지 않도록 진지하고도
자연스런 태도를 취해야 한다.
음경을 만지고 있는 4살된 아이에게 엄마는 이렇게 말했다. \"너 이게 뭔지 아니? 음경이야.
따라 해봐. 그래 음경. 또 여기는 고환이라는 곳이야. 고환. 여기서 아기씨를 만드는데 이 아이가 되는 씨는 음경을 통해 걸어다녀.
아기씨가 걸어다니는 길이 음경이기 때문에 너무 많이 만지거나 더러운 손으로 만진다든지 조금만 만져야 해. 알았니?\" 벌레가
들어와 갉아먹는다느니 썩는다고 하는 것은 지나친 표현으로 나중에 아이가 커서 성에 대해 너무 깔끔을 떨거나 반대로 아주 더럽게 생각할 수도
있다.
-엄마 나 어디로 나왔어?
\"엄마 나 어디로
나왔어?\" \"아기는 어디로 나와?\" \"아기는 어떻게 생겨?\"
3세부터 7세까지 자주 묻는 것 중에 하나가 또
출생에 대한 질문이다. 예전같지 않아 요즘 현대 부모들은 설명을 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몰라 얼버무리기
일쑤다. 아빠는 다리 밑에서 주워왔다는 둥 하며 장난스럽게 대답하기도 한다. 그럴 때 아이는 엄마의 당황하거나 놀라는 모습을 보고
\'아 이거 함부로 묻는게 아닌가?\'하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아빠의 장난스런 표정을 보고는 자신의 진지함에 혼란함이 올 수 있다. 즉
부모를 보고 크게 남는 것은 \'은밀한 성\'이나 \'장난스런 성\',\'애매모호한 성\'느낌이다. 어떤 대답을 해야
좋을까? \"좋은 질문이야. 아기는 엄마으 \'질\'이라는 곳으로 나와. 질은 엄마의 다리 사이에 있는 길인데 여기는 겉에선 잘 보이지
않지만 참으로 소중한 곳이야. 아빠가 음경으로 엄마에게 아기씨를 주는데 그 아기씨를 처음 받아내는 곳이 엄마의 질이라는 곳이야. 나중에 아이가
엄마 자궁이라는 곳에서 다 자라서 밖으로 나와야 하는데 그때 아기가 나오는 길도 바로 질이야. 남자의 음경도 중요하지만 여자의 질도 참
중요한거야. 우리 모두가 태어난 곳이니까.\"
그림을 그리며 알려주거나 비디오를 활용하는 것도 좋겠다. 실제 교육을 한답시고
엄마의 벗은 몸을 보여주며 가르쳐주는 부모도 간혹 있는데 지금과 같이 잘못된 \'보여주는 문화\'가 있는 곳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해하는데 있어 연령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반복적인 교육속에서 뭔가 소중한 느낌을 아이들이 가질 수 있다면 그것으로
성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