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성교육 자료의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크게 다음의 5개의 연구 단계를 거쳤다.
가. 기존의 성교육과 관련된 자료 고찰
가장 처음 단계에서는 고등학생의 성교육 지침서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존의
자료들을 검토하였는데, 구체적으로 다음의 5가지 영역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1) 고등학생들의 발달상 특징에 대한
고찰 고등학생들의 신체적, 대인관계적, 인지적 변화 등에 관한 문헌고찰로 교육의 대상인 고등학생들의 발달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 고등학생들의 성관련 현황에 대한 고찰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성교육의 대상을 잘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등학생들이 성과 관련된 부분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 가를 밝힌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이성교제 경험, 성행동
현황, 성지식 정도, 성관련 태도와 가치관, 성교육을 받고 싶은 내용에 대한 문헌들을 살펴보았다.
(3) 고등학생들의 성상담
이용의 현황과 특징에 대한 고찰 고등학생들이 성과 관련된 부분 중 어떠한 것을 문제로 여기고 도움을 받고 싶어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들이 상담실을 통해 문의한 성상담 내용과 항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상담소들의 성상담 현황을
분석하였다.
(4) 기존의 성교육과 성교육 지침서에 대한 분석 새로운 성교육 지침서를 개발하기에 앞서 이제까지
실시되어 온 성교육의 역사와 그 동안 개발되어온 성교육 지침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성교육 및 성교육 지침서들이 갖고 있는 제한점들을
파악하고 새로운 지침서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5)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각 교과별 혹은 과외활동을 통해
사용될 수 있는 성교육 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각 과목별로 성교육이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
파악하였다.
나. 요구조사 실시 및 자료분석
이제까지 발표된 자료들에서 얻지 못한 부족한 내용을 보충하고, 가장
최근의 고등학생들의 성교육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인 방법과 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요구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II. 요구조사분석\" 부분에 제시되어 있다.
다. 성교육 지도 지침서 및
자료개발(1차)
위의 두 단계에서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1차 성교육 지도 지침서 및 자료를 개발하였다.
라.
자문단 구성 및 자문
1차로 개발된 지도 지침서 및 자료를 자문위원들에게 제시하고 그들의 전문적인 조언을 얻었다. 자문위원을
선정하는데 있어서는 각 자문위원들이 지침서 내용 중 특정의 부분에 대해 구체적인 조언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마. 최종 성교육 지침서 및 자료 개발
자문위원단의 조언을 토대로 1차 개발된 자료에 대한
전반적인 수정을 한 후 최종 성교육 지침서 및 자료를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