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교육 지도교사 ① 성교육 관련교과 교사가 성교육 실시 - 교사의 전문성 결여 : 전문적인 성교육 연수
필요 - 체계적이며 연계된 성교육 실시가 어려운 실정임 - 교사의 재량에 따라 수업 내용의 폭과 깊이가 교사마다 다를
수 있음 ② 보건교사가 성교육을 할 경우 문제점 - 각 학교에서 급식을 주로 담당하고 있어 업무가 겹치고
있음 - 각 학교에 1명의 보건교사가 전교생 대상으로 성교육을 할 수가 없음 - 수업중 사고가 발생 시 보건교사가
수업도중 처리하기 위해 나와야 함 ③ 교사들의 성 가치관이 중요하고 다르므로 성교육 하기가 어려움 ( 교재에 의한
성교육이 필요하고 성 상담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상담지식 필 수) - 교사들의 다양한 성교육 범위 논란 (피임교육의 필요성 논란
대상)
2) 시간 및 내용
① 학교별 차이 - 초·중·고에서의 성교육 시간 내용이 학교마다 아주
차이가 많고 학생들이 어느 선생에게 배웠는가에 따라 수준이 다름 ② 주로 생물학적인 지식 전달을 하기 때문에 정서적
심리적인 성문제를 상담하 거나 교육이 부족 되어 있음 - 성교육과 성 상담이 병행 ③ 학생들이 원하는 성교육과
학교에서 실시하는 성교육과의 차이의 폭이 점점 더 넓어지고 있어 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성교육 내용
개발이 시급함 ④청소년들의 성충동 측정 척도 문항 개발이 요구됨 (개별적인 성 상담 중요)
3) 성교육의 체계적
지도문제 ① 성교육 시범학교 운영 시 - 시범 운영 기간에는 체계적으로 잘 되어 있으나 시범교육이 끝나면 체계적 운영이
어려움(교사 전출 및 교장의 교육관) ② 성교육은 유치원부터 해야 하는데 대부분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시작되고 개인 차가
많으므로 수업수준 맞추기가 어려움.
4) 학교 성 상담 교사 - 상담을 전공한 교사가 필요함
3. 학교 성교육
제안
1) 유치원에서부터 성교육실시 - 교재개발 시급 2) 중·고등학교 성교육시간 할당 - 각 학년 년간
10시간이상 3) 성교육 담당교사 지정 - 연수를 통한 교사 지정 4) 성 상담을 할 수 있는 교사 - 상담연수 5) 전교사
성교육연수 - 정확한 양성성 평등교육 6) 성교육의 목표 - 피임과 미혼모 방지가 아니고 올바른 가치관 확립과 건강한 시민이
되기 위 한 자아존중감 증진, 자기주장을 정확하게 하는 기술을 습득하게 함이다.
※ 교사들의 학교 성교육 실태와 교육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설문을 초중고 교사 58명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