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과거 자료

  • 10대 성문제와 후유증, 그리고 대책 1 (2001심포지옴)

    2012.07.10 14:52:59
  •    10대 성문제와 후유증, 그리고 대책

    김현식(인의협 여성위원회, 산부인과 전문의)

    1. 성이란 - 성 개념

    성은 일반적으로 섹스(sex),젠더(gender),섹슈얼리티(sexuality)의 개념으로 분류한다.
    섹스는 신체적 성을 말하며 구체적인 해부학적 생김새를 기준으로 한 남녀 구분을 말한다. 흔히 섹스라고 하면 성적 행위, 성교를 연상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섹스라고 하는 의미는 신체적인 차이를 갖는 남자와 여자의 구분을 나타낸다. 즉 생물학적 특성에 의한 남녀구분으로 이것은 태어나면서부터 획득되는 생득적인 면에서의 결정을 말한다.
    젠더는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 문화적인 성을 말한다. 이것은 \'만들어지는 성\'이라고도 하며 그 사회의 규범, 가치관, 성역할에 대한 사회의 태도와 기대, 사회의 고정관념 등에 의해서 각기 다르게 특징 지워지며 문화나 사회를 초월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즉 개인이 속해있는 사회나 집단내의 지위에 대응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기대되거나, 요구되는 태도나 행동양식을 가리킨다. 남성이라든가 여성을 사회 안의 지위로 생각
    하여 각각의 성에 대해서 사회가 기대하는 태도나 행동양식이다.
    섹슈얼리티는 성적인 행위뿐만 아니라 성에 대한 우리의 태도, 가치관, 문화등 인격의 차원까지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여성의 임신, 출산, 수유등의 경험도 모두 포함된다. 다시 말해서 섹슈얼리티는 인간의 성행동은 물론 개인이 갖는 성에 대한 환상, 행동, 태도, 사고, 감정, 가치관, 이해심, 성정체성 등이 모두 해당된다. 한 개인의 섹슈얼리티는 살아가면서 사회·문화적인 환경에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성에 대한 행동이나 태도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 안에서 학습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성\"이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한 성적 행동이 아니라 인간이 살아가면서 형성된 성에 대한 태도, 가치관, 행동, 정체성 등 포괄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 성기 중심적으로 성을 이해하기보다는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총체적인 범주로서 수용하고 인간중심적이고 관계중심적인 성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 역할이란 남녀를 구분하는 특징에 대한 사람들 사이의 신념, 남녀의 생물학적인 차이에 근거하여 남성과 여성에게 적합한 과제, 활동, 성격특성 등을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성 역할 고정관념이란 어떤 행동이나 남·여와 관련된 행동이라고 받아들이고자 하는 요구, 또는 그 행동을 남성적이거나 여성에게 적합한 것으로 간주하려는 사람들의 신념을 말한다.
    사회의 많은 분야에서 여성에 대한 성차별이 있다. 직업에서의 여성에 대한 편견은 임금, 승진, 직종에서의 차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성의 일에 대한 편견을 들 수 있다. 여자는 별다른 책임감 없이 개인의 소일거리를 위해서 일하고, 남자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일한다는 것이다. 또한 여자가 남자보다도 능력 면에서 열등하다고 믿는 편견이 작용하고 있다. 여성들조차도 여자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 남자나 여자가 모두 전형적인 성 역할을 벗어나 다양한 생활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서 틀에 박힌 성 역할에 얽매이지 않고서 서로 의사소통 할 수 있다면 보다 더 바람직한 남녀사이의 인간관계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사회가 남성과 여성에 대해 일정한 패턴을 정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여성과 남성은 각자의 잠재력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차별에 대한 대책으로는 양성성을 지닌 인간으로의 지향 즉 남성이든 여성이든 완전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양성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서로 이질적인 두 요소(남성적, 여성적)를 자기 안에서 조화롭게 공존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들이 \"조화로운 인간\"이 되기 위한 기본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TOP